'문 닫는 치킨집 급증' 프랜차이즈업계 현황은?
'문 닫는 치킨집 급증' 프랜차이즈업계 현황은?
  • 오진석
  • 승인 2017.07.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 기사를 번역합니다

人터뷰 : CEO스코어 박주근 대표

[팍스경제TV 오진석 기자]

<앵커> 최근 프랜차이즈 사업자.  가맹업에 대한 사회적인 문제가 연이어 불거지고 있습니다.

CEO들의 갑질뿐만 아니라 은퇴자들의 몇 안되는 선택수단인 프랜차이즈가 빚잔치와 폐업으로 얼룩지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해서 CEO스코어 박주근 대표와 함께 하겠습니다. 

 

<앵커> 먼저 프랜차이즈 업계의 현황부터 설명부탁드립니다.

<박주근> 2016년 기준 가맹본부 수는 전년보다 9.2% 증가한 4268개입니다. 브랜드 수는 8.9% 증가한 5273개로 나타났습니다.

브랜드 수는 외식업 4017개(76.2%), 도소매업 312개(5.9%), 서비스업이 944개(17.9%)로 외식업 부문 영업표지 비중이 현저히 높았습다. 

가맹점 수는 2015년 기준 21만8997개로, 2014년(20만8104개)보다 1만893개(5.2%) 증가했습니다. 직영점 수는 1만6854개로 2014년(1만5459개)보다 1395개 늘었습니다.

다만 2015년 한 해 동안 신규 개점한 가맹점 수는 4만1851개로 2014년(4만3009개)보다 1158개 감소했습니다.

2015년 가맹점 연평균 매출액은 3억825만원으로 집계됐습니다. 2014년(3억4180만원)보다 9.8%나 떨어진 수치입니다.

매출액은 외식 분야에서 중식(-36.3%), 도소매 분야에서 의류·패션(-97.4%), 서비스 분야에서 오락(-12.4%)의 감소율이 컸습니다. 

2016년 말 기준 가맹본부의 평균 가맹사업기간은 4년 8개월이었습니다. 업종별로는 도소매업이 6년 3개월로 가장 길고 서비스업(5년 10개월), 외식업(4년 3개월) 순이었습니다.

<앵커> 은퇴자 등이 가맹사업으로  창업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박주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자영업자 비율(27.4%·2013년)이 평균의 두배에 이르는 상황에서 2015년에도 전체 가맹점이 1만곳 이상 늘어 자영업자 간 ‘레드오션’ 경쟁이 더 치열해졌음을 나타냈습니다. 초등-중학-고등-대학-대기업-명퇴-치킨집... 공식이 서 있는 나라로 변모해 온 것입니다. IMF 이후 명퇴의 일상화와 함께 직업 재교육 시스템의 부재가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앵커> 프랜차이즈 업체중 창업자들이 선호하는 업체와 폐업률 순위, 폐업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박주근> 저희 CEO스코어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2015년 기준 가맹점 폐점률이 가장 높은 브랜드는 놀부의 분식업종 '공수간'(41.5%)이었습니다. 가맹점 사업자가 창업비용으로 가맹본사에 가장 많은 부담금을 내는 프랜차이즈는 버거킹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폐점률은 연말 계약종료·해지 가맹점 수를 연초 가맹점 수로 나눈 비율을 의미합니다. 

그 다음으로는 교육 교과업 비상교육의 '비상아이비츠'(36.2%), 교육교과업 재능교육의 '재능스스로러닝센터'(30.2%), 교육교과업 교원의 '빨간펜수학의달인'(25.9%), 롯데리아의 아이스크림·빙수브랜드 '나뚜루'(23.7%), 일식 동원산업 '동원참치'(22.8%), 피자 이랜드파크 '피자몰'(22.2%), 기타 도소매 이마트에브리데이(20.0%) 등의 순으로 폐점률이 높았습니다. 

위와 같은 정보는 공정거래위원회가 운영하는 가맹사업거래 사이트에서 얻을 수 있습니다. 계약 종료, 계약 해지 등 폐점률 정보를 포함해 신규 개점, 명의 변경 등 프랜차이즈 브랜드에 관한 주요 정보가 공개됩니다.

하지만 예비창업자에게 이 자료는 별 도움이 안 됩니다. 프랜차이즈 산업은 유행에 민감해 인기 업종이 6개월 단위로 변하고, 한 해에만 1만 개 이상의 가맹점이 생기지만 창업자들이 참고할 수 있는 자료는 1년 반 전 것뿐입니다. 

<앵커> 최저임금 인상이 향후 프랜차이즈와 창업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 게 있을까요?

<박주근> “최저임금은 가맹점 수입 및 생존에 직결되는 사안”입니다. “업종별 차등 시급 적용을 요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합니다. 

사용자 측은 편의점 외에도 피시방, 주유소, 택시업, 슈퍼마켓, 경비업, 이·미용업, 일반음식점업 등에 대해서는 개별업종의 다른 경영환경을 고려해 저임금 인상률의 절반만 적용하자는 최저임금 차등적용을 주장했지만 수용되지 않았습니다. 

이번 조치로 프랜차이즈 외에 소규모 음식점, 주점 등에 미치는 타격은 더 커 자칫 줄도산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일반 자영업은 프랜차이즈의 연평균 매출액보다 뒤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장기적으로 가맹점주뿐만 아니라 편의점 본사 차원의 수익 감소도 불가피할 것이란 게 중론입니다. 가맹점주들의 영업환경이 악화된 것을 감안해 가맹수수료 인하와 영업시간 제도 정비 등 지원책 마련에 나서야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앵커> 예비 가맹업주들에게 정부 정책과 관련한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박주근> 정보의 시의성뿐 아니라 취합하는 곳(공정위)과 실태조사를 담당하는 곳(산업부), 지원기관(중소기업청 등)이 제각각인 것도 문제”입니다. “하나의 정부기관이 책임을 지고 프랜차이즈가 일정 규모 이상 되면 필요한 정보의 제공 주기를 앞당기도록 하는 등 전반적인 제도를 다듬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자영업자 20여 만 명의 생계가 달린 프랜차이즈 산업을 책임지는 부처가 없기 때문이란 지적이 나옵니다. 프랜차이즈산업 주무부처는 산업통상자원부입니다. 산업부는 작년 초 ‘2014년 실태조사’를 발표한 뒤 새로운 정보를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산업부가 관할하는 ‘가맹사업진흥에 관한 법률’은 2007년 제정된 이후 단 한 번도 정부 주도로 개정된 적이 없습니다.

담당 사무관이 달랑 한 명일 정도로 관련 인력도 부족합니다. 공정위는 2009년부터 관련 정보를 취합하기 시작한 뒤 이번에 처음으로 실태조사 결과를 내놨습니다. 

(이 기사는 7월 18일 팍스경제TV '알아야 바꾼다 뉴스 레이더'에서 방송된 내용입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